|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 1 | ||||||
| 2 | 3 | 4 | 5 | 6 | 7 | 8 |
| 9 | 10 | 11 | 12 | 13 | 14 | 15 |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 30 |
- java
- GitHub
- 딥러닝
- 파이썬
- MAC OS
- AIStages
- homebrew설치
- 리눅스연습문제
- 운영체제
- 자바
- BPTT
- github branch
- 리눅스7장
- 정보처리기사
- 부스트캠프 AI Tech
- 우분투리눅스
- 운영체제연습문제
- CNN
- Python
- ai개발밋업
- Git
- backpropagation
- ann
- 쉽게배우는운영체제
- RNN
- 판교퇴근길밋업
- 2020정보처리기사
- repository 복구
- Django
- Swing
- Today
- Total
목록Programming (31)
코딩하는 애옹😸
1. superuser 이란? superuser은 장고내에 모든 권한을 가지는 슈퍼 사용자입니다. 쉽게 말하면 관리자인데 장고 내에 admin페이지에 들어가기 위해서는 superuser 생성이 필수입니다! 2. superuser 생성 superuser은 command line에서 생성합니다. python manage.py createsuperuser Username, Email address, Password를 입력합니다. 장고 관리자 페이지에 돌아와서 슈퍼 사용자로 로그인을 하면 대시보드 확인이 가능합니다. 감사합니다 🙇
우분투 리눅스 : 시스템 & 네트워크 개정판 , 한빛아카데미, 이종원 저 1. 2. 커널을 메모리에 로딩하는 역할 3. /etc/default/grub 파일에서 GRUB_CMDLINE_LINUX_DEFAULT=”quiet splash”를 찾아 quiet를 삭제하고 sudo update-grub 실행 4. 리눅스 전체 시스템을 시작하고 관리하는 유닛으로 구성되어 있다. 5. 런레벨 : 시스템의 상태를 나타내는 숫자와 문자 런레벨 의미 관련 스크립트의 위치 0 시스탬 종료 /etc/rc0.d 1. S 응급 복구 모드(단일 사용자 모드) /etc/rc1.d, /etc/rcS.d 2 다중 사용자 모드 /etc/rc2.d 3 /etc/rc3.d 4 /etc/rc4.d 5 그래피컬 다중 사용자 모드 /etc/rc5..
우분투 리눅스 : 시스템 & 네트워크 개정판 , 한빛아카데미, 이종원 저 1. 디스크 기반 파일 시스템은 초기에 미닉스 파일 시스템을 이용했으나, 곧 exr 파일 시스템으로 알려진 리눅스 고유의 파일시스템을 만들어 사용. CD-ROM, DVD 같은 외부 저장 장치를 사용하여 다양한 파일 시스템을 지원. 가상 파일 시스템은 메모리에 생성되어 사용되고, 일반적으로 특수한 용도를 가지고 필요에 따라 생겼다 없어졌다 함. 2. - 파일은 inode로 관리 - 디렉터리는 단순히 파일의 목록을 가지고 있는 파일일 뿐 - 특수 파일을 통해 장치에 접근할 수 있다. 3. 블록 그룹 0의 첫 1,024B는 x86 부트 섹터와 부가 정보를 저장하는 특별한 용도로 사용 4. 슈퍼블록에 문제가 생기면 전체 파일 시스템을 사용..
우분투 리눅스 : 시스템 & 네트워크 개정판 , 한빛아카데미, 이종원 저 1. - 일반 프로세스 : 실행 상태에서 명령 수행 후, 명령이 끝나면 프로세스가 소멸됨 - 데몬 프로세스 : 리눅스 커널에 의해 실행되고 명령이 끝나도 소멸하지 않고 메모리상에 상주하면서 특정 조건이 되면 명령을 수행함 2. - PID-15761의 부모 프로세스는 PID-15721이고, PID-15721의 부모 프로세스는 PID-15710이다. 3. - ps -ef | grep guest, ps -fu guest 4. - kill -9 5000 5. - top 명령이나 그놈의 시스템정보 6. - 명령 이름으로 종료하므로 같은 명령이 여러 개 검색될 경우 한 번에 모두 종료시킬 수 있다. 7. - find / -name test 실..
우분투 리눅스 : 시스템 & 네트워크 개정판 , 한빛아카데미, 이종원 저 1. ls -l 2. 접근 권한은 읽기 권한, 쓰기 권한, 실행 권한이 있음. - 읽기 권한(r) : 파일을 변경할 수 없지만 내용을 볼 수 있음 - 쓰기 권한(w) : 파일의 내용을 보는 것뿐만 아니라 수정하거나 삭제하는 것도 가능함 - 실행 권한(x) : 셸 스크립트나 실행 파일의 경우 파일을 실행할 수 있음 - 사용자 종류는 소유자, 그룹, 기타 사용자가 있다. 3. 권한 파일 디렉터리 읽기 파일을 읽거나 복사할 수 있다. ls명령으로 디렉터리 목록을 볼 수 있다. (ls명령의 옵션은 실행 권한이 있어야 사용할 수 있다.) 쓰기 파일을 수정, 이동, 삭제할 수 있다. (디렉터리에 쓰기 권한이 있어야 한다.) 파일을 생성 하거나..
우분투 리눅스 : 시스템 & 네트워크 개정판 , 한빛아카데미, 이종원 저 1. - 명령어 해석기 기능 : 사용자와 커널 사이에서 명령을 해석하여 전달하는 해석기와 번역기 기능. 사용자가 로그인하여 셸이 자동으로 실행되어 사용자가 명령을 입력하기를 기다림 - 프로그래밍 기능 : 셸은 자체 내에 프로그래밍 기능이 있어 반복적으로 수행하는 작업을 하나의 프로그램으로 작성 가능. - 사용자 환경 설정 기능 : 사용자 환경을 설정할 수 있도록 초기화 파일 기능을 제공. 초기화 파일에는 명령을 찾아오는 경로를 설정하거나, 파일과 디렉터리를 새로 생성할 때 기본 권한을 설정하거나, 다양한 환경 변수 등을 설정 2. - * : 임의의 문자열을 나타내는 특수문자 - ? : 하나의 문자열을 나타내는 특수문자 3. - “ ..